함수 인자로 왜 new ArrayList<>()만 쓰고 List<Integer>는 안 써도 될까?
✅ 핵심 결론
여기서 new ArrayList<>()는 익숙한 축약 문법이에요.
타입 생략이 가능한 이유는, 자바 컴파일러가 타입 추론(type inference) 을 해주기 때문입니다.
✅ 정리
표현 의미
new ArrayList<>() | 자바 7 이상에서 타입 생략 가능한 축약 문법 |
왜 생략 가능? | 메서드의 매개변수 타입을 보고 자바가 자동 추론 (type inference) |
참고로... 변수에 직접 할당하는 경우도 마찬가지!
List<Integer> temp = new ArrayList<>(); // OK! 컴파일러가 타입 추론
'PS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ystem.out.println() (0) | 2025.04.10 |
---|---|
Array Vs List (0) | 2025.04.10 |
size() vs .length (0) | 2025.04.10 |
함수 인자로 왜 new ArrayList<>()만 쓰고 List<Integer>는 안 써도 될까?
✅ 핵심 결론
여기서 new ArrayList<>()는 익숙한 축약 문법이에요.
타입 생략이 가능한 이유는, 자바 컴파일러가 타입 추론(type inference) 을 해주기 때문입니다.
✅ 정리
표현 의미
new ArrayList<>() | 자바 7 이상에서 타입 생략 가능한 축약 문법 |
왜 생략 가능? | 메서드의 매개변수 타입을 보고 자바가 자동 추론 (type inference) |
참고로... 변수에 직접 할당하는 경우도 마찬가지!
List<Integer> temp = new ArrayList<>(); // OK! 컴파일러가 타입 추론
'PS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ystem.out.println() (0) | 2025.04.10 |
---|---|
Array Vs List (0) | 2025.04.10 |
size() vs .length (0) | 2025.04.10 |